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해리4

정신간호학 1-93 2-1 해리장애 관련질환 1)해리성 둔주 (1)자신이 과거나 자기 신분 및 정체성에 대한 기억 상실 (2)본래의 자기 정체성에 대해 기억을 못함 (3)갑자기 직장을 떠나 방황을 하거나 예정 없는 여행을 함 (4)자신이 누구인지 모름 (5)지남력 장애 (6)새로운 신분을 만들기도 함 (7)회복 후 둔주 기간에 일어난 일을 기억 못함 (8)자연적으로 회복 2)해리성 기억 상실 (1)특별히 중요한 시기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함 (2)정신적 충격과 관련된 기억상실 (3)스트레스 상황과 관련된 기억상실 (4)최면 요법 (5)스트레스 상황의 해소로 회복 3)이인성 장애 (1)자신이 자신의 실제 모습에서 떨어져 있다고 느낌 (2)자신이 실제가 아니고 죽었다고 느끼기도 함 (3)현실 검증력은 유지되어 자아가 몸에서 떨어.. 2023. 9. 30.
정신간호학 1-92 2. 해리장애 1)개념 (1)인간의 기억, 정체성, 지각, 의식의 통합이 와해되어 각각 해리되는 정신장애 (2)해리된 성격의 일면은 의식적인 성격과 전혀 동떨어져서 기능함 (3)불안, 불편감, 공포를 유발하는 억압된 충동이 무의식적으로 의식에서 분리 2)원인 (1)생물학적 요인 -변연계 -세로토닌 (2)정신 사회적 요인 -낮은 자존감 -정체성 혼동 -성역할의 혼란 -역할 긴장 등 (3)가족 역동 -완고함 -폐쇄적인 가족 -학대적인 가족 3)증상 (1)기억상실, 의식결함, 몽유병, 둔주, 다면성 인격, 이인증 등으로 표현 (2)일시적 또는 만성적으로 발생 (3)갑작스럽거나 점진적으로 와해, 변화 (4)대상자는 과거, 환경, 위기 또는 위험으로부터 도피하는 수단으로 자신을 해리시킴 4)진단 기준 -해리성 둔.. 2023. 9. 29.
정신간호학 1-37 (8)혼동하기 쉬운 방어기전 구분 억압 vs 억제 -억압 : 무의식적 과정(억누른다는 것도 모르면서 원인 모를 불편을 호소) -억제 : 의식적 과정(욕망이나 갈등을 알고서 자제하므로 불편하지 않음) ->억제가 성숙한 방어 퇴행 vs 행동화 -퇴행 : 나이나 상황에 맞지 않게 이전 발달단계로 되돌아간다는 것에 주목 -행동화 : 욕망이 통제되지 않고 분출되는 점에 주목(같은 행동도 보는 관점에 따라 퇴행으로 볼 수도, 행동화로 볼 수도 있음 ‘어린아이처럼’ 아무나 끌어안고 비대면 퇴행, ‘성적 욕구가 이끄는 대로’ 아무나 끌어안고 비대면 행동화) 취소 vs 반동형성 vs 이타주의 -취소 : 불편한 욕구나 기억을 지우거나 중화하는 상징적 행동 -반동형성 : 욕구와 정반대로 행동, 공포의 대상에 오히려 몰두함 .. 2023. 8. 5.
정신간호학 1-36 5-1)신경증적 방어-2 (1)해리 인격의 각 부분(본능, 자아, 초자아)이 잘 조절되지 않을 때 만족을 추구하기 위해 일어나는 것으로서 성격의 어느 국면이 그 사람의 지배를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하는 것 Ex, 이중성격-이브의 세 얼굴, 지킬박사와 하이드, 몽유병, 건망증, 잠꼬대 (2)합리화 인식하지 못한 동기의 결과로 어떤 행동을 하고나서 논리적인 그럴 듯한 이유로 정당화시키는 체면 유지와 자기 보호를 하는 것 Ex, 이솝우화의 여우와 신포도 이야기 6)성숙된 방어 자아가 중재와 균형을 잡아주어 이드, 자아, 초자아가 충분히 조화를 이루는 상태 (1)이타주의 반동형성의 성숙한 형태로 볼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을 건설적으로 도와주는 것 Ex, 기업가가 말년에 사회 환원 및 기부 (2)금욕주의 .. 2023. 8.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