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병예방3 지역사회간호학 1-85 6.3 건강증진 사업1. 우리나라 건강증진 사업1)발전과정(1)1995년 1월-국민건강증진법 통과 (2)1995년 9월-국민건강증진법 시행 (3)2006년 9월 개정-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매 5년마다 수립 2)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시대적 배경)(1)평균수명 연장으로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 낮은 건강 수명(2)질병의 만성화, 난치병 증가 등 치료중심 의료제도의 보완이 요구됨(3)생활양식, 식생활, 생활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위험요인 증가(4)환경오염에 다른 시급한 대책이 요구됨(5)국민의료비 증대(6)질병유발요인의 다양화에 따른 보건의료 이외의 타 분야와의 협조체계 필요 3)건강증진사업(1)건강증진사업-보건교육, 질병예방, 영양개선 및 건강생활의 실천 등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사업 (2)궁극적.. 2025. 6. 2. 지역사회간호학 1-81 06. 건강증진과 보건교육1. 건강증진 개념1)건강증진 개념의 발전(1)Lalonde 보고서-1974년 발표-건강, 질병, 사망을 결정하는 요인을 유전, 물리적 환경, 생활 방식, 의료인으로 구분하고 이중 생활양식이 전체 50% 이상 차지 (2)WHO-1978년 발표-Alma-Ata에서 ‘Health For All’을 설정 (3)미국의 ‘Healthy People’-1979년 발표-우리 자신의 부주의한 습관, 오염된 환경, 유해한 사회적 환경에 의해 우리 스스로 살해하고 있다는 주장 2)건강증진의 정의(1)사람들이 그들의 건강을 개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주는 과정-WHO, 1985(2)최적의 건강상태를 위해 생활양식을 변화시키는 과학과 예술-O’Donell, 1989(3)단순히 질병의 치료나 .. 2025. 5. 29. 지역사회간호학 1-53 2. 보건지소1)보건지소의 설치 기준(1)읍·면마다 1개소씩으로 합-보건소가 설치된 읍·면은 제외함 (2)시장·군수·구청장은 지역주민의 보건의료를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지역에 보건지소를 설치·운영할 수 있음 2)보건지소장(1)보건지소에 보건지소장을 1인으로 두되 보건지소장은 지방의무직 또는 전문직공무원으로 임용함(2)보건지소장은 보건소장의 지휘·감독을 받아 보건지소의 업무를 관장하고 소속 직원을 지휘·감독하며 보건진료소의 직원 및 업무에 대하여 지도·감독 3. 보건진료소1)법적근거1980년 12월 “농어촌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근거하여 농어촌에 설치된 1차 보건의료 사업기관 2)목적알마아타선언에 영향을 받아 보건의료 취약지역 주민에게 1차 보건의료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 2025. 5. 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