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모유3

아동간호학 1-105 5)성장장애(1)원인-성장에 필요한 칼로리 섭취나 활용이 잘 되지 않아 발생-체중이 정상체중의 5% 이하일 때 (2)종류1>기질적 성장장애-선천성 심질환-신증후군-내분비 기능장애 등 신체적 요인2>비기질적 성장장애-질병과 관련 없음-모아 애착 결여-분리 등 사회 심리적 요인-구토-식욕부진-이미증 등의 수유장애-발달지연 (3)치료 및 간호-기질적 문제 시 충분한 칼로리 제공과 내과적 치료-비기질적 문제 시 심리적 문제, 스트레스 해결 6)비만(1)중요성-성인이 되었을 때 질병 이환율과 사망률 증가의 원인 (2)원인-신체에서 요구하는 에너지 이상의 칼로리를 지속적으로 섭취하여 지방세포의 수가 많아짐-모유 수유아보다 인공영양아가 더 발생빈도가 높음 (3)증상-체중 기대치보다 20% 이상 증가-성장 도표 상에서.. 2024. 10. 20.
아동간호학 1-41 7. 감각기능1)시각(1)일정기간 물체에 집중, 협응하는 기능이 제한적임-물체를 45~90° 내에서 움직이면 눈을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하거나 물체를 따라서 봄(2)안구가 빛에 반사, 빛을 비추면 눈을 감는 눈깜빡임 반사가 일어나며 각막을 자극하면 눈이 감겨지는 각막반사가 나타남(3)눈물샘은 2~4주 까지는 기능하지 않음(4)시야의 중심선에서 20cm 이내에서는 움직이거나 밝은 물체에 집중할 수 있음(5)시력은 출생 후 4개월까지 급속히 발달하여 양안시가 어느 정도 확립됨 2)청각(1)출생 시 청각은 발달되어 있음-신생아는 갑작스럽고 예리한 소리에 놀람반사로 반응을 보임(2)청력은 수일 이내에 예민해짐-고추파음 민감-사람의 목소리에 민감함 3)후각(1)식초와 같은 강한 냄새에 얼굴을 돌림(2)모유 수.. 2024. 8. 16.
아동간호학 1-19 (5)self feeding(스스로 먹기)1>6개월-숟가락 다룰 수 있음2>젖떼기-모유를 먹이거나 젖병으로 먹던 것을 중단하는 것으로 생후 8~9개월이 가장 적절한 시기3>적어도 12개월까지는 젖병을 끊고 컵으로 먹이도록 하는데 이는 젖병충치를 예방하는데 중요하며 유아가 젖병을 통해 우유를 먹고 있는 경우 다른 음식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기 때문->주스 줄 때 컵으로 마시게 함4>1세 때 스스로 컵으로 마실 수 있음5>완전히 스스로 먹는 것은 18개월경에 가능함 (6)음식 알레르기1>흔한 원인-우유, 밀가루, 콩, 옥수수, 달걀, 초콜릿, 생선류2>증상-두드러기, 복통, 구토, 설사, 호흡기 증상3>진단-한 번에 한 가지씩 음식을 첨가하여 음식 일지 쓰기-면역계 미성숙으로 Skin test 는 유용하지 않.. 2024. 7.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