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학교 건강증진
1)학교 건강증진 원칙
(1)전체 학생의 일상생활에 관한 전반적 내용 포함
(2)건강문제 원인이나 결정요인에 초점을 둔 활동
(3)건강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의사소통, 교육과 학교활동, 경제적 도움, 학교 개발 등 다양한 활동 포함
(4)효과적이고 확실한 학교 인구 참여를 목표로 시행
(5)보건교사는 1차 건강 관리자로서 중심적 역할
(6)학교는 건강증진을 지원하는 환경 조성
2)사업 내용
(1)1차 예방
-보건교육
-예방 접종 사업
-금연 교육
-사고 예방 관리
-운동 관리
(2)2차 예방
-조기 진단을 위한 활동
-조기 치료를 위한 활동
(3)내용
-비만
-시력
-구강
-흡연
-약물 오·남용
-예방중심의 성교육
-정신건강 관리
7. 학교 보건실 운영
1)보건실 물적 자원 관리
(1)시설과 설비관리
1>위치
-학생 및 교직원들이 이용하기에 편안한 위치
-학생들의 요양과 건강상담을 위하여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되 통풍과 채광 고려
->일반적으로 교사 본관 1층 중앙에 남향으로 위치함
2>크기
-보통 교실 1칸으로 하되 학생수를 감안하여 크기 조정, 18학급 이상인 경우 99m2 이상으로 설치
->평균적으로 1칸은 66m2
3>내부환경
-학생 및 교직원이 육체적, 정신적 편안함을 느끼는 환경 조성
-수도시설
-조명시설
-응급상황에 필요한 연락장비
-약품 및 얼음 보관을 위한 냉장고
-드레싱 기구 소독을 위한 소독기
(2)보건실의 물품 보관 및 유지관리
1>물품대장의 목록화
2>물품 출고 시 물품원장에 기록
-서명
-출고대장에 날짜, 물품, 수량, 사용처, 책임자, 사용책임자 서명
3>물품을 깨끗이 사용하고 매 분기별 또는 월 1회 정기적으로 점검
4>전근, 이동 시 정확히 점검하고 인수·인계하며 인수자와 인계자가 함께 확인하고 서명
5>결함이 발견되는 즉시 관련부서에 보고하고 정비, 보수
6>소모품인 경우, 필요 시 물품을 보충
(3)약품 관리
1>약품의 특성에 따라 온도, 습도, 광선, 대기 등을 고려함
-건조하고 서늘한 곳 보관
2>약품 및 재료는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한꺼번에 과량 구입하지 않음
3>불소 함유물 등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약품을 표시하여 잠금장치가 있는 장에 보관함
4>정확한 건강 사정과 기록에 근거하여 약품을 사용함
5>약품 사용 유의사항을 숙지하고 약물 복용이 올바르게 되도록 지도함
6>약품은 학생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함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1-124 (0) | 2025.07.11 |
---|---|
지역사회간호학 1-123 (2) | 2025.07.10 |
지역사회간호학 1-121 (2) | 2025.07.08 |
지역사회간호학 1-120 (0) | 2025.07.07 |
지역사회간호학 1-119 (0) | 2025.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