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 신경성 폭식증
1)정의
섭취를 조절하지 못하여 폭식을 한 뒤 즉시 구토를 유발하거나 이뇨제와 완화제의 남용 및 심한 운동을 통해 섭취한 음식물을 제거하고 소모해버리는 식이장애
2)임상증상
(1)젊은 여성에게 더 많이 호발
-주로 12~35세에 호발
(2)폭식과 소비를 주기적으로 반복
(3)자기 비하감
(4)우울감
(5)낮은 자존감
(6)대부분 정상이거나 약간 비만상태의 정도
3)치료
치료는 신경석 식욕 부진과 비슷하며 체중증가를 막기 위한 토하기, 이뇨제, 설사약 사용 등에 대해 전해질 불균형 조절, 약물 남용의 위험에 대한 중재가 필요함
3. 비만
1)정의
지방의 과다한 축적에 의한 몸무게의 증가
2)병태생리
열량섭취량이 열량요구량과 소비량보다 계속해서 증가할 때 나타남
3)원인
-신진대사장애
-시상해부의 이상
-유전적·사회적·문화적·심리적 요소
4)진단
(1)체중, 체중-키 비율, 체질량 지수, 피부 두께 측정, CT, MRI 등
*체질량 지수 = 체중÷(신장)²
(2)과체중
-85백분위 이상~95백분위 미만
(3)비만
-95백분위 이상
5)치료 및 간호
(1)식이요법
-식습관 변화로 식이 조절
-식사의 영양학적 질 향상이 목표
(2)운동요법
-체중 감소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활동
-텔레비전 시창과 같은 좌식 행위를 제한함
(3)행동수정요법
-행동치료와 집단 참여로 식습관 변화
-몸무게를 줄이고자 하는 동기 유발이 중요함
(4)약물요법
728x90
반응형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1-210 (0) | 2025.02.02 |
---|---|
아동간호학 1-209 (0) | 2025.02.01 |
아동간호학 1-207 (0) | 2025.01.30 |
아동간호학 1-206 (0) | 2025.01.29 |
아동간호학 1-205 (1) | 2025.01.28 |
댓글